주요콘텐츠로 건너뛰기

벧엘클럽하우스

새로운 꿈을 위한
세상의 작은 변화가 시작됩니다.


자유게시판

'500만 알뜰폰'도 적자투성이인데 '제4이통' 허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문석광
댓글 0건 조회 2,422회 작성일 15-04-17 18:55

본문

928039_article_99_20150417143503.jpg?type=w540
알뜰폰(MVNO) 가입자수가 500만명 돌파를 코앞에 두고 있다. 알뜰폰은 기존 이통사 대비 저렴한 요금제를 앞세워 가입자를 빠르게 늘리고 있지만 누적적자가 2500억원에 달해 경영 우려를 낳고 있다. © News1




정부, 경쟁 촉진 통신비 인하 명목 설립 추진…출혈경쟁에 애물단지 전락 우려



(서울=뉴스1) 박희진 기자 = '반값 통신비' 실현을 위해 도입된 '알뜰폰'(MVNO;이동통신재판매) 시장이 덩치는 커졌는데 여전히 수익성이 부실해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홀로서기'가 어려운 알뜰폰 업계는 생존을 위해 정부의 추가지원책이 나오기만 바라보고 있는 실정이다.


알뜰폰 업체들도 수익을 실현하지 못하는 마당에 정부는 다시 통신비 인하 명목으로 제4이동통신 설립을 추진하고 있어, 알뜰폰의 전철을 되풀이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알뜰폰 가입자 500만 시대...적자는 '눈덩이'



17일 미래창조과학부와 업계에 따르면 알뜰폰 가입자수가 지난 2월말 485만명, 3월말 495만명을 기록한데 이어 이르면 다음주초반 500만명을 돌파할 전망이다.


그동안 '알뜰폰'은 저렴한 요금을 무기로 급성장했다. 출범 첫해인 2012년말 가입자는 127만명 수준이었지만 2년반만에 가입자 500만명 돌파를 앞두고 있는 것. 하지만 누적적자도 덩달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알뜰폰 업계의 지난해 적자는 900억원이고, 누적적자는 2500억원에 달한다.


알뜰폰업계 관계자는 "기존 이동통신3사의 가입자당 월평균매출액(ARPU)이 3만원대면 알뜰폰은 1만대"라며 "이 때문에 가입자수는 이통3사 대비 8% 수준이지만 매출은 3%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수익성이 떨어지자 사업철수를 선언하는 업체도 등장했다. 모기업인 영국 테스코그룹이 이동통신 재판매 사업을 하는 홈플러스는 일찌감치 알뜰폰 시장에 뛰어들었다가 최근 사업을 접었다. 막강한 유통채널을 가진 대형마트들도 알뜰폰 시장에서 '백기'를 들었다. 인터파크도 신규가입자를 받지 않아 사실상 사업이 중단된 상태다.


현재 알뜰폰 시장은 약 30여개 업체들이 난립하고 있다. 이통3사의 망을 빌려쓰는 대가로 수익의 절반을 망사용료로 지불해야 하는 구조에서 수익성을 늘리는 것은 한계가 있다보니 대부분 적자경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알뜰폰업계는 정부에 이통사 망사용료를 내려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민희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최근 미래부와 방통위의 업무보고가 진행된 전체회의에서 "알뜰폰 사업자의 누적적자가 심각한데 그 이유는 망도매대가 때문"이라며 도매대가를 조정해 알뜰폰 시장의 적자를 해결해야 한다"고 정부를 압박했다. 미래부는 망도매대가 인하를 위해 SK텔레콤과 협상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알뜰폰업계는 오는 9월 종료되는 3년간의 전파사용료 면제기간도 3년 더 연장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업계가 면제받고 있는 전파사용료는 연 25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한국알뜰폰통신사업자협회 하창직 사무국장은 "알뜰폰 시장이 자리잡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미래부는 전파사용료에 대해서도 감면 연장을 위해 기재부와 논의중이다. 하지만 기재부는 예산문제인데다 가뜩이나 세수가 부족한 상황에서 감면 연장에 대해 난색을 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부, 4이동통신 추진...업계, '제2팬택' 우려



이런 상황에서 미래부는 제4이동통신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명분은 이동통신 시장에 신규사업자를 추가해 경쟁을 촉진시켜 통신비 인하를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달말이나 내달초 신규 이동통신사업자 허가 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제4이동통신은 한국모바일인터넷(KMI)이 6번이나 사업권을 신청하며 사업 진출을 시도한 분야지만 미래부는 번번이 '불허' 결정을 내렸다. 재무능력을 가장 크게 우려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막강한 자본력을 갖춘 대기업같은 '모범생'이 등장하면 얘기가 달라질 수 있다.


업계에서는 대형 케이블 사업자이자 콘텐츠 분야에서 막강한 경쟁력을 갖춘 CJ그룹을 4이동통신의 적임자로 보고 있다. CJ는 케이블, 콘텐츠, 알뜰폰 사업에 이어 이동통신사업으로 수직계열화가 가능한 구조다. 여타 케이블업계도 제4이동통신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결합상품으로 케이블 업계 경쟁력이 갈수록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라 이동통신의 필요성도 점차 대두되고 있어서다. 문제는 '돈'이다.


케이블방송업계 고위 관계자는 "4이동통신에 대해 들여다보고는 있지만 최소 사업 투자액이 3조원에 이르는 대형사업이다보니 뛰어들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4~5조원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이에 대해 이통사들은 한숨을 내쉬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이동전화 가입자는 인구보다 많은 5700만명에 달하고 있어, 서로 가입자 뺏기 전쟁을 벌이고 있는 판국에 사업자를 또 허가하면 출혈경쟁에서 벗어날 수 있겠느냐는 얘기다. 결국 가입자 쟁탈전을 위해 마케팅비를 쏟아붓다가 다같이 고사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요금경쟁 활성화는 커녕 업체들이 고사하면서 이통시장의 존립 자체가 위태로울 수 있다는 우려다.


업계 한 관계자는 "LG유플러스가 LG그룹이라는 대그룹의 지원 하에서도 후발사업자로 등장해 15년 넘게 노력해도 여전히 고군분투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알뜰폰보다도 훨씬 막대한 투자가 요구되는 4이동통신을 추진하는 것은 '제2의 팬택'을 낳는 무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가계통신비 인하라는 정치적 명분을 세워주기 위해 제4이통사를 허가한다는 것은 빈데잡으려 초가삼간에 불지르는 격"이라며 "본원적 서비스경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는 경쟁환경을 조성하는 게 더 우선"이라고 꼬집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